본문 바로가기
IT 이야기/XML 강좌

제 2 강 SGML - XML과 SGML, 그리고 HTML의 관계

by 옥사마 2010. 3. 23.


ㅇ SGML
   - 문서들을 위한 generalized markup language를 정의하는 ISO 표준
   - Markup은 문서를 처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기 보다 문서의 구조 (structure)와 속성들을 기술함
   - SGML은 복잡하고 다양한 자료를 텍스트 기반 자료 구조로 표현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언어
   - HTML은 SGML로 만들어진 언어
   - SGML의 방대하고 복잡함 (그래서 표준화하기 어려운)으로 인해 XML이 탄생됨
   - XML은 웹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므로 경량화되었으나 다양한 자료구조를 표현할 수 있음

ㅇ XML & SGML 차이점
   - SGML의 경우 DTD를 반드시 기술해야 함
   - SGML의 경우 각 필드가 적절한 값으로 채워져야 함
   - SGML의 경우 필드의 기술 순서를 정의할 수 있음
   - XML의 경우 SDATA가 없음

ㅇ SGML version
   - Original SGML: October 1986에 승인 (accepted)
   - SGML (ENR): arbitrary-language and -script markup를 위한 확장 명명 규칙 (extended naming rules) 추가 (1996)
   - SGML (ENR+WWW or WebSGML), XML and WWW 요구 사항들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(1998)
     
ㅇ SGML (ENR+WWW) Validity (2 종류)
   - Type-valid: DTD에 정의된 document type을 잘 따른 경우
   - Tag-valid: SGML 문서의 instance들이 fully tagged된 경우

ㅇ SGML Syntax (3 part)
   - SGML Declaration
   - Prolog (DTD): 다양한 markup declaration을 가지는 DOCTYPE 포함
   - instance 자체

ㅇ Open Source Implementation
   - ASP-SGML
   - ARC-SGML, 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Users, 1991, C 언어
   - SGMLS, James Clark, 1993, C 언어
   - Project YAO, by Yuan-ze Institute of Technology, Taiwan, with Charles Goldfarb, 1994, object
   - SP, James Clark, C++

참고문헌
[02] Wikipedia의 SGML 정의,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Sgml
[03] 태권브이님 블로그, http://blog.naver.com/eva04?Redirect=Log&logNo=120003070234

'IT 이야기 > XML 강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제 3 강 XML 용어 정리  (0) 2010.03.23
제 1 강 Introduction to XML  (0) 2010.03.10
들어가기 전에  (0) 2010.03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