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 이야기/IT

[센서 노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리 (2/3)] IEEE 1451

by 옥사마 2010. 3. 25.
   - IEEE 1451
      ㅁ 미국의 NIST 주도 하에 1993년 9월부터 표준화 작업 시작
      ㅁ 1451.0부터 1451.6까지 총 7개의 표준으로 나뉨
      ㅁ 네트워크와 트랜스듀서 (센서와 구동 소자를 통칭함)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규정
      ㅁ 즉, 센서 업체는 연결될 네트워크의 종류나 연결 구조에 상관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만 제공
         (TIM-Transducer Interface Module-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)
      ㅁ 네트워크 입장에서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정보를 취득하거나 제어 가능
         (NCAP-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- 에 일관되게 개발)
      ㅁ 주요 IEEE 1451 표준의 종류
          - 1451.0:
            ㅁ TIM에 연결된 물리적인 트랜스듀서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
            ㅁ 공통으로 지원하는 TEDS (Transducer Electronic Data Sheet)의 구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데이터 구조와 관련 정보, 물리적 특성 정보, 데이터 해석을 위한 정보, 타이밍 정보 등
            ㅁ 1451.1과 1451.x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,
            ㅁ 트랜스듀서의 기본 명령어
          - 1451.1:
            ㅁ 네트워크를 통해 트랜스듀서들을 발견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제공
            ㅁ 트랜스듀서를 위한 NCAP의 소프트웨어 모델 정의
          - 1451.2: TIM과 NCAP 사이의 인터페이스 정의
          - 1451.5 트랜스듀서와 NCAP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정의
    
      ㅁ 결론: 참고는 할 수 있으나, 센서 노드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음
          - 전원이 별도 공급되는 경우를 고려하였으므로, 저전력 제어가 고려되지 않음
          - 기술 일부를 차용하여 플랫폼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며, TEDS는 센서 노드 특성 파악에 활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