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 이야기39 [USN 네트워킹 기술 정리 (2/6)] IEEE 802.15.4 기술 개요 ㅇ IEEE 802.15.4 개요 - 개요 ㅁ 저속의 통신 대역과 저전력을 목표로 하는 프로토콜 ㅁ 현재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 ㅁ ISM 밴드 사용 (참고) Shannon Capacity Formula - Channel Capacity에 대한 계산 - 네트워크 토폴로지 ㅁ 주요 특징 - 250 kbps, 100 kbps, 40 kbps, 20 kbps의 전송 속도 지원 - Star 혹은 Peer-to-peer 지원 - 16 bit short address, 64 bit extended address 64 bit 확장 주소는 노드가 만들어질 때 할당 -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해 Guaranteed Time Slot (GTS)를 할당 - CSMA-CA (Carrier Sense Multiple .. 2010. 3. 26. [USN 네트워킹 기술 정리 (1/6)] 1. 개요 ㅇ 센서 네트워킹을 위한 무선 통신 기술 - 저전력: 대기 모드 등을 갖고 있어 소비 전력을 최소화 - 통신 속도: 수십 - 수백 kbps 정도의 저속 - 무선 통신 범위: 수 미터에서 수 백미터 정도의 단거리 2010. 3. 26. [센서 노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리 (3/3)] RETOS - RETOS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델 ㅁ RETOS: 연세대 Mobile & Embedded System Research Group에서 개발된 센서 노드용 OS ㅁ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를 제공 ㅁ 커널 모드는 2중 레이어 커널 모드, 단일 레이어 커널 모드로 구분됨 ㅁ 사용자 모드 - 직접적인 HW system call 서비스를 이용해 구현 - 사용자의 새로운 장치 접근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쉬움 -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GPIO 혹은 ADC와 같은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는 장치 드라이버 개발에 적절 - 커널과 분리되어 커널의 안정성을 보장 - 개발자는 장치에 대한 파워 관리와 및 접근 권한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음 - 상세한 하드웨어 접근 및 제어가 힘듬 ->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.. 2010. 3. 25. [센서 노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리 (2/3)] IEEE 1451 - IEEE 1451 ㅁ 미국의 NIST 주도 하에 1993년 9월부터 표준화 작업 시작 ㅁ 1451.0부터 1451.6까지 총 7개의 표준으로 나뉨 ㅁ 네트워크와 트랜스듀서 (센서와 구동 소자를 통칭함)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규정 ㅁ 즉, 센서 업체는 연결될 네트워크의 종류나 연결 구조에 상관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만 제공 (TIM-Transducer Interface Module-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) ㅁ 네트워크 입장에서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정보를 취득하거나 제어 가능 (NCAP-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- 에 일관되게 개발) ㅁ 주요 IEEE 1451 표준의 종류 - 1451.0: ㅁ TIM에 연결된 물리적인 트랜스듀서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.. 2010. 3. 25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10 다음